생각

3 articles
보수(保守)라는 말의 뜻은 보전하고 지킨다는 것이다.. 보전한다는 말에는 이미 존재하는 것을 유지한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 보수의 확장되는 개념으로 전통이나 관습 등을 지킨다는 의미가 들어간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보수의 의미는 후자의 것이 변질된 것인데 현 시대가 지칭하는 보수는 보수가 지칭하고 감싸는 모든 것을 버려야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엄밀하게 정의하면 보수는 이전 세대의 산물을 무턱대로 지켜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보전이란 말처럼 보호하고 지켜야할 가치가 있는 것을 지킨다는 의미가 강하다.. 이전 세대의 산물을 기준없이 지키는 것은 보수가 아닌 수구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렇다면 현 시대는 왜 보수를 원래 가진 참 의미로 바라보지 못하는 것일까?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위정자들이 보수를 어떻게 정의했는가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대한제국이 일제에 의해 쓰러진 후 광복이 되기까지 35년 강점기를 거치면서 외세에 담합하는 많은 이들이 있었고 이들 중 상당수가 대한민국 건국 당시 위정자의 위치에 오르게 되면서 수구적 정치관을 가지고 있던 그들이 자신의 수구성을 감추기 위해 정략적으로 보수라는 의미를 변질시킨 것이다.. 그들이 끼친 영향은 아직까지도 일반 대중에게 남아있어 대중이 보수와 수구를 구분하지 못하는 현 상황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상황이 어찌되었든간에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보수는 다분히 수구적인 성향이 강함을 부인할 수 없다.. 보수라고 여겨지는 것들에 대한 반감은 바로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지금 우리가 보수로 여겨고 있는 많은 부분들은 실은 진정한 보수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대한민국에 진정한 보수가 있는가에 대한 담론은 이전부터 계속 나왔던 것들이다.. 과연 대한민국에 진정한 보수가 있는가? 모르겠다.. 혹자는 국익을 우선으로 하는 것이 보수인데 지금의 보수 정부(라고 불리는)는 그렇지 않다며 현 정부가 보수가 아니라고 하지만 국익을 우선으로 하는 것은 보수라기 보다는 극우가 차라리 어울린다.. 물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국가에 대한 존엄성과 그 가치를 지켜내고자 하는 이가 있다면 그는 진정한 의미의 보수라고 할 수 있다.. 그 가치 가운데 국익이 포함되기 때문에 극우와 보수가 보통은 같이 언급되어지긴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실을 바라보며 소위 보수라고 불리우는 이들이 비난의 말을 하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진정 그들이 보수인가? 내가 가지고 있는 보수의 의미에 비춰본다면 그들은 보수가 아니다.. 오히려 작은 힘이지만 나라의 안위와 국민을 생각하여 보태고자 나서는 이들이 국가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보수다.. 지금껏 보수라 불리는 이들이 정말로 국가의 가치를 보전하고 지키기 위해 노력했는가 자문을 해봐야 한다.. 그리고 그 자문에 답을 할 수 없다면 스스로 보수로 여겨지는 것을 반성하고 용서를 구해야 한다.. 위정자 뿐이 아닌 일반 개인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내용이다..
2008/06/04 14:00 2008/06/04 14:00
tag { , }

생각 하나..

ordinary 2008/03/08 09:16
아침에 일어나서 새벽동안 올라온 Textcube 1.6.1로 블로그를 다시 업데이트하고 간만에 바탕화면도 새로운 것으로 바꿔볼까 해서 이올린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이올린 첫 화면을 마주치자 눈길을 끄는 제목의 글(그리스인 마틴님의 저작권 관련 포스팅이었음)이 올라와 있길래 제목을 클릭하고 포스팅 내용을 흥미롭게 읽었다..

그리고 나서 다시 이올린으로 돌아와보니 무엇때문에 이올린으로 왔었는지가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이다..(연구결과 붕어의 기억력도 일주일 이상 유지한다는데.. --;;)
느낀 점이 몇가지 있었는데 주말동안 좀더 고민을 해보려고 한다..
2008/03/08 09:16 2008/03/08 09:16
tag { }
초등학교 시절 특별활동 부서로 과학반에 그렇게 들어가고 싶었지만 TO(table of organization)의 한계로 인해 가위바위보를 하게 되었고 그 결과 생각지도 않았던 미술반에 들어가게 된 경험이 있다.. 미술반에 들어가서 처음 배우게 된 것이 스케치였는데 첫 스케치 시간에 배운 것이 나뭇가지를 제대로 그리는 방법이었다..

그 전까지는 별 생각없이 나뭇가지를 그렸는데 스케치 시간에 배운 내용은 나뭇가지를 자세히 보면 원가지가 더 크고 원가지에서 파생된 가지는 반드시 원가지보다 작다는 것.. 가지 모양이 Y자 처럼 보여서 두개가 동일하게 나가는 것 같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어느 한 가지는 분명히 크기나 굵기에서 차이가 난다는 것이 배운 내용이었다.. 지금까지도 기억이 생생한 걸 보면 그 때 받았던 정신적 감흥의 크기가 비록 어린 아이였지만 지식적 충격으로 다가왔음에 틀림없다.. 그 후 나뭇가지만 그리게 되면 무의식중에도 한 가지는 좀더 작게 그리는 것이 습관이 되버리고 말았다..

나뭇가지 그림

그러나 요즘 들어 드는 생각은 과연 이것이 정말 제대로인 방식인가 하는 것이다.. 물론 지식적으로 볼 때는 틀린 점은 없다.. 하지만 틀리지 않은 것이 과연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일까? 머리 속 깊이 뿌리내리고 자리잡은 관념의 허상이 나로 하여금 자연스럽다고 여기게 하는 것은 아닐까?

옳다는 것이 과연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종종 가지곤 한다.. 답을 찾고 싶은 의문이긴 하지만 그 답 역시 자연스럽게 깨달을 수 있기를 한편으론 기대하면서..

언젠가 그 답을 찾게 된다면 제대로 된 나뭇가지를 그리고 싶다.. 나의 눈이 바라보는 있는 그대로의 나뭇가지를 그려보고 싶다..
2007/07/13 01:52 2007/07/13 01:52
tag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