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다 베이직 서비스 종료를 바라보며
my notes
2020/03/07 10:01
카카오모빌리티가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기술 테스트에 들어간다.. 어제는 소위 타다 금지법이라 불리우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안이 법사위를 통과하여 시행을 앞두게 되었다.. 그 이전에 이미 앞서 타다 베이직 서비스는 서비스 종료를 선언했다..
타다를 비롯한 기존 모빌리티 업계와 택시 업계의 충돌을 볼 때 마다 매번 의구심을 가졌던 부분은 다름아닌 자율주행 이후 시대에 과연 택시 업계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었다.. 대응할 준비를 하기는 하는건가라는 의문.. 운전기사(사람)를 기반으로 하는 현 모빌리티 시스템 구조의 기득권에 대한 이해관계 충돌 모습만 보여줄 뿐 그 어떤 모습도 고객 서비스 개선이나 기술 혁신으로 이어지는 모습이 발견되진 않는다..
이런 상황을 접할 때 마다 과거 인력거 시장에서 택시 시장으로 넘어가던 당시 인력거꾼들의 모습과 앞으로 다가올 자율주행 모빌리티 생태계에서의 택시 기사들 모습이 매번 겹쳐보인다.. 비단 모밀리티 생태계에서만 보여지는 모습은 아니다.. 산업혁명 이후 신기술 도입으로 인해 기존 생태계와 부딪히는 일이 생길 때 마다 저 현상은 반복되고 또 반복되어 왔다.. 우리는 이미 그것을 역사로 배워왔고 현실 속에서 경험해 왔다..
타다 베이직 서비스가 기술적인 혁신을 가져왔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단지 기존에 발견하지 못한(아니 발견을 못한게 아니라 안한거라고 해야 하나?) 고객 니즈를 충족시켰을 뿐이고 그것이 포지티브 규제 방식의 국가에서 더이상 허용되지 못한 것일 뿐이다.. 그동안 몸담으며 겪어 왔던 많은 산업군에서 법이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접어야 했던 그 많던 프로젝트들을 떠올리며 느꼈던 감정이 타다 베이직에도 투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다 베이직 서비스가 기술적 혁신을 가져온 것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다만 고객의 숨겨진 니즈를 찾아내 그것을 만족시킨 서비스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서비스의 가치를 인정하고 싶다..
타다 베이직 서비스가 종료되면서 택시 업계는 기득권 수호에 대한 잠깐의 기쁨을 누릴 것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지금의 자율주행기술이라는 것이 아직은 운전자가 동승해야만 가능한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기술 테스트라는 점이다.. 테스트 기간 안에 레벨5에 대한 기술 검증은 어디선가 마무리될 것이고 그 시점이 현실로 다가올 때 여전히 그들이 기득권 수호의 기쁨을 누릴 수 있을지는 지켜볼 일이다..
한가지 유심히 지켜보고 있는 다른 한 축은 법 테두리 안에서 모빌리티 생태계를 만들어 간다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자율주행기술을 테스트하고 있다는 점이다.. 개인적으론 꽤나 흥미로운 부분이다.. 작년 12월 초에 다른 기회로 내부 담당자에게 던졌던 자율주행기술 이후에 택시 기사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준비를 하고 있냐는 질문에 대해 지금 이렇게 움직여 가고 있다라는 답변같아 보여서다..
한가지 유심히 지켜보고 있는 다른 한 축은 법 테두리 안에서 모빌리티 생태계를 만들어 간다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자율주행기술을 테스트하고 있다는 점이다.. 개인적으론 꽤나 흥미로운 부분이다.. 작년 12월 초에 다른 기회로 내부 담당자에게 던졌던 자율주행기술 이후에 택시 기사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준비를 하고 있냐는 질문에 대해 지금 이렇게 움직여 가고 있다라는 답변같아 보여서다..
나도 한 때는 X세대 였다
my notes
2020/02/02 08:52
주말. 잠시 떠오르는 생각들을 정리하다가 문득 2016년 브렉시트 투표 결과에 승복하며 총리직을 사임했던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전 총리가 마지막 의회 간담회에서 말하던 장면이 떠올랐다..
저도 한 때는 미래였습니다 (I was the future once)
20대 시절 X세대라는 새롭게 등장한 분류법으로 그 변화의 시대를 살아왔고 한국 역사상 가장 젊은 40대라는 지금의 모습으로 남겨졌다.. 혹자는 낀 세대라고 하지만 어찌보면 이전 386 세대와 Y세대, 밀레니얼 세대 사이에서 그나마 다른 세대에 비해 양측을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세대이기도 하다..
밀레니얼 이후 어떠한 모습의 세대가 또 새롭게 등장하게 될지는 아직은 모르지만 어떻게 되어도 지금의 X세대 포지션은 크게 바뀌지는 않을 듯 싶다.. 결국 우리 세대에게 주어진 나름의 사명은 세대간 가교역할이 아닐까 싶다..
그래도 20대를 X세대로 보낼 수 있었음에 나름 감사한다.. 덕분에 이 나이가 되도록 아직 철이 덜 든 모습처럼 보이지만 꾸준히 무언가 새로움을 찾아 나서고 고정관념을 무너뜨리려 노력하게 된 계기가, 누군가의 목소리를 더 듣고자 노력하는 자세가 만들어진건 20대의 그 변화를 몸소 체험한 결과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도 한 때는 X세대 였다..
SNOW 지식포럼 '오픈 세상에서 배우다' 발표 자료
my notes
2012/02/17 20:11
SNOW 지식포럼 - 미디어 서비스 기업의 오픈 사례
지난 2월 11일 열렸던 SNOW 지식포럼에서 발표한 자료 공유합니다..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McFuture Ahn
발표 내용이 대부분 슬라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자막 내용을 입혀서 공개합니다.. :)
‘오픈 세상에서 배우다!’ 2012 스노우 지식포럼
my notes
2012/02/10 14:04
2월 11일(벌써 내일이군요) 오후 2시에 숙명여대 백주년 기념관 7층 한상은 라운지에서 '오픈 세상에서 배우다'라는 주제로 2012 스노우 지식포럼이 열립니다..
오픈에 대해 관심 있으신 분이라면 누구나 참석이 가능합니다.. 많이 많이 오세요~ :)
참가 신청은 http://goo.gl/ZTwJf 여기에서 하시면 됩니다..
저는 사례발표에서 기업의 입장에서 바라본 오픈에 대한 내용을 말씀 드리고 오픈 토크를 진행할 예정인데요.. 오셔서 좋은 의견들 많이 나눠 주세요~ :)
R.I.P. Steve Jobs
my notes
2011/10/19 22:57
지난 10월 5일.. Steve Jobs가 세상을 떠났다.. 공교롭게도 그날 이 블로그도 설정에 문제가 생겨 데이터를 복구하기까지 시간이 걸렸고 이제서야 뒤늦게 그의 죽음에 대해 애도를 표하게 되었다..
처음 PC를 접한 것이 초등학교 2학년..(http://mcfuture.net/311) 처음 본 순간 그 PC는 아무것도 모르던 한 어린 아이의 시선을 완전히 사로잡아 버렸다.. apple ][ 카피 모델로 기억되는데 beep 음으로 멜로디를 만들던 기억이 아직도 새롭다..
이제 그는 그가 이룬 혁신을 뒤로 하고 이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그가 세상을 바꾼 것처럼 이 세계 어디에서 또 누군가의 혁신이 뒤를 이을 것이다..
그가 항상 얘기했던 그 말들을 기억하며 다시 한번 그를 기린다.. Think Different.. 나이와 상관없이 고정관념을 거부하고 왜라는 의문을 가졌던 계기는 그의 영향 때문이었다.. 부디 영면하길..
R.I.P. Steve Jobs..
tag { Apple,
R.I.P,
Steve Jobs,
Think Different }
Joi Ito 이야기..
my notes
2011/05/16 00:16
몇주 전 트위터에 흥미로운 트윗 하나가 올라왔다.. MIT 첨단연구소 소장은 대학도 졸업 안했다라는 내용이었는데 그 이야기가 담겨 있었을 링크로의 연결은 이미 페이지가 사라진 후여서 이 내용에 대한 개인적인 검증이 필요했다.. 해당 트윗의 내용이 의심되었다기 보다는 정확한 사실로 내용을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일단 MIT 첨단연구소라는게 참 광범위한 얘기라서(MIT는 학내 각 분야별로 첨단연구소가 있는 관계로..) MIT Media Lab 쪽일 가능성에 우선 순위를 두고 검색을 시작했다.. 그리고 아래 내용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New Director of MIT Media Lab Talks of Encouraging Openness
MIT Media Lab의 Director로 온 인물은 CC 쪽에 관심있는 이들이라면 그 이름을 한번 쯤은 들어봤을 CC CEO Ito Joich 였다..(Joi Ito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도 작년에 방한하여 CCK 컨퍼런스에 참석을 하기도 했던 인물이다.
기사의 내용을 보면 몇가지 이야기들이 담겨져 있는데 그가 대학을 중퇴했다는 내용과 WoW(World of Warcraft)에 대한 언급이다.. 이러한 내용들 때문에 트위터에 언급되면서 Joi Ito에 대해 좀더 흥미로운 접근이 이뤄진 것이 아닌가 싶다.. 사실 이 내용들은 Joi Ito에 대해 얘기를 할 때 자주 접하게 되는 내용이지만 MIT Media Lab의 Director로 오게 되면서 다시 한번 세간의 화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위 검증 과정을 거치면서 접하게 된 이야기들이 중요하게 바라보는 관점이었다.. 특히 그의 학력에 대한 평가는 MIT Media Lab의 Director로 오게 되면서 좀더 부각이 된 것 같았다.. 그 점이 부각되면서 국내 교육 실정이나 환경에 대한 이야기들이 함께 연관지어졌는데 사실 대부분의 이야기가 맞는 의견이긴 하지만 Joi Ito가 걸어온 길을 살펴본다면 오히려 그의 학력은 그가 만들어온 삶의 영역에선 그리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었다.. 대학도 졸업하지 않은 인물이 MIT Media Lab의 Director가 되었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러한 자리에 오를 수 있도록 스스로의 길을 만들어온 그의 삶이 더 중요한 사실이라는 것이다..
되짚어 보면 Apple의 Steve Jobs나 MS의 Bill Gates 역시 앞의 관점의 연장선에선 대학도 졸업하지 못한 CEO이다.. 그렇다고 그러한 사실이 이들의 업적을 평가하는데 다른 관점을 부여하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국내의 환경이 여러가지로 학력이라는 부분에 있어서 장벽이 되는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런 실정에 대해 이러한 사례들을 빗대어 실정 자체에 대해 비난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 만들어진 프레임이 불합리하다면 비난만을 할 것이 아니라 그 프레임을 깨뜨릴 대안을 마련하거나 스스로 그 벽을 넘어서도록 해야 한다.. 스스로의 힘이 부족하다면 프레임을 넘어설 수 있는 힘을 결집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Joi Ito가 MIT Media Lab의 Director가 된 것이 주목받아야 하는 이유는 그의 학력이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라는 것이 아닌 그가 어떠한 노력과 과정으로 스스로의 삶을 개척해 나갔고 그것이 어떠한 형태로 기존의 프레임을 깨뜨렸는가 라는 점이다..
일단 MIT 첨단연구소라는게 참 광범위한 얘기라서(MIT는 학내 각 분야별로 첨단연구소가 있는 관계로..) MIT Media Lab 쪽일 가능성에 우선 순위를 두고 검색을 시작했다.. 그리고 아래 내용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New Director of MIT Media Lab Talks of Encouraging Openness
MIT Media Lab의 Director로 온 인물은 CC 쪽에 관심있는 이들이라면 그 이름을 한번 쯤은 들어봤을 CC CEO Ito Joich 였다..(Joi Ito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도 작년에 방한하여 CCK 컨퍼런스에 참석을 하기도 했던 인물이다.
기사의 내용을 보면 몇가지 이야기들이 담겨져 있는데 그가 대학을 중퇴했다는 내용과 WoW(World of Warcraft)에 대한 언급이다.. 이러한 내용들 때문에 트위터에 언급되면서 Joi Ito에 대해 좀더 흥미로운 접근이 이뤄진 것이 아닌가 싶다.. 사실 이 내용들은 Joi Ito에 대해 얘기를 할 때 자주 접하게 되는 내용이지만 MIT Media Lab의 Director로 오게 되면서 다시 한번 세간의 화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위 검증 과정을 거치면서 접하게 된 이야기들이 중요하게 바라보는 관점이었다.. 특히 그의 학력에 대한 평가는 MIT Media Lab의 Director로 오게 되면서 좀더 부각이 된 것 같았다.. 그 점이 부각되면서 국내 교육 실정이나 환경에 대한 이야기들이 함께 연관지어졌는데 사실 대부분의 이야기가 맞는 의견이긴 하지만 Joi Ito가 걸어온 길을 살펴본다면 오히려 그의 학력은 그가 만들어온 삶의 영역에선 그리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었다.. 대학도 졸업하지 않은 인물이 MIT Media Lab의 Director가 되었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러한 자리에 오를 수 있도록 스스로의 길을 만들어온 그의 삶이 더 중요한 사실이라는 것이다..
되짚어 보면 Apple의 Steve Jobs나 MS의 Bill Gates 역시 앞의 관점의 연장선에선 대학도 졸업하지 못한 CEO이다.. 그렇다고 그러한 사실이 이들의 업적을 평가하는데 다른 관점을 부여하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국내의 환경이 여러가지로 학력이라는 부분에 있어서 장벽이 되는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런 실정에 대해 이러한 사례들을 빗대어 실정 자체에 대해 비난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 만들어진 프레임이 불합리하다면 비난만을 할 것이 아니라 그 프레임을 깨뜨릴 대안을 마련하거나 스스로 그 벽을 넘어서도록 해야 한다.. 스스로의 힘이 부족하다면 프레임을 넘어설 수 있는 힘을 결집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Joi Ito가 MIT Media Lab의 Director가 된 것이 주목받아야 하는 이유는 그의 학력이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라는 것이 아닌 그가 어떠한 노력과 과정으로 스스로의 삶을 개척해 나갔고 그것이 어떠한 형태로 기존의 프레임을 깨뜨렸는가 라는 점이다..
tag { Joi Ito,
MIT Media Lab,
프레임 }
어린 아이들이 새로운 것에 대한 두려움이 없는 이유는 자신이 모르는 것을 인정하고 그것에 대해 답을 찾기 위해 '왜요?' 라는 의문으로 접근하기 때문이다..
어른들은 동일한 상황을 접하게 될 때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이나 경험에 의존하여 새로운 것에 대해 '원래 그런거야'라는 판단으로 답을 내리곤 상황을 회피한다.. 나이가 들 수록 새로운 것을 받아 들이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늘어나는 것은 이러한 연유다..
삶이란 답을 찾기 위한 끊임없는 의문의 연속이 되어야 한다.. 그 의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 바로 삶인 것..
이미 정답이 정해져 버린 삶이란 죽음과 다름 없다..
어른들은 동일한 상황을 접하게 될 때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이나 경험에 의존하여 새로운 것에 대해 '원래 그런거야'라는 판단으로 답을 내리곤 상황을 회피한다.. 나이가 들 수록 새로운 것을 받아 들이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늘어나는 것은 이러한 연유다..
삶이란 답을 찾기 위한 끊임없는 의문의 연속이 되어야 한다.. 그 의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 바로 삶인 것..
이미 정답이 정해져 버린 삶이란 죽음과 다름 없다..
체크 포인트..
- 개인이 생산한 컨텐츠에 대해 Social을 기반으로 생산자와 소비자를 서로 연결해 주는 방식
- 컨텐츠를 소비하는 형태에 최적화된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과연 어떻게 컨텐츠를 재생산/보급할 수 있는가
- Social Media의 개인화
- 수익 구조
생산된 컨텐츠에 대한 전통적인 고민..
- 어떻게 하면 컨텐츠를 소비가 잘 될 수 있는 구조로 유통시킬 것인가..
- 생산자와 소비자를 어떠한 방법으로 연결시킬 것인가..
- 컨텐츠를 통해 어떻게 수익을 낼 것인가..
tag { flipboard }
Layered LBS
my notes
2009/12/23 18:35
iPhone이 국내 출시되기까지 제일 이슈가 되었던 것 중 하나가 바로 GPS 정보 처리에 관한 내용이었다..
여러가지 대안책들이 논의되던 중 결국 Apple이 직접 방송통신위원회에 위치정보사업자 허가 신청을 제출했고 신규 허가 면허를 취득하게 됨으로 iPhone이 출시되기 위한 마지막 장벽이 제거되었다.. 그 결과 연내 출시라는 결과로 iPhone는 국내 사용자들에게 다가왔고 현재까지 약 10만대 이상이 판매되었다는 얘기가 들려온다..
mobile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얘기할 때 빠지지 않고 나오는 분야가 바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즉, LBS(Location Based Service)이다.. mobile이 보유하고 있는 이동성이라는 특성이 자연스럽게 위치 상태의 변경이라는 상황과 연계되면서 수시로 변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구현하기에는 mobile device가 가장 이상적인 device로 여겨지게 된 것이다..
LBS로 구현된 초기 서비스 모델들의 대부분은 map 상의 좌표에 다른 정보를 대입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왔다.. mobile screen이란 2차원 공간에서 위치정보의 직관적인 이해도를 나타낼 수 있는 presentation layer가 바로 map이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당연한 귀결이었지만 그 뒤에 계속 출시되는 서비스들이 대부분 map을 활용하는 형태로 구현되다 보니 서비스 간의 차별화 요소는 map 위에 올라가는 정보의 차이일 뿐 다른 차별화를 끌어내려는 시도는 많지 않았다..
물론 지표 상의 정보만으로도 활용 방법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지표 상의 정보만으로는 근원적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이는 위치라는 지리적 정보에 높이라는 속성이 포함되어 있는데 기존의 LBS에선 이 부분까지 고려하진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러한 시도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측위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SnapTrack 사 같은 경우는 네트워크 기반방식과 단말기기반방식을 혼합한 Hybrid 방식을 만들었고 Yahoo! Japan의 경우는 지하상가지도 서비스를 제공해 도시 공간의 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는 지하 공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높이에 대한 이슈는 비단 지하 공간뿐이 아니라 도시의 대형 건물 등 에도 적용될 수 있다.. 쇼핑몰이나 극장, 빌딩 등 대형 건물로 진입했을 때 층고에 따른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면 이 또한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지표 상의 정보 외에 높이라는 정보를 하나의 Layer로 규정하고 높이의 차이에 따른 정보를 각각의 Layer로 처리하여 기존의 LBS에서 이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사용자 측면에서 혁신적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계기가 LBS에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좀더 나아가 LBS에서 Layer라는 개념이 활용될 수 있다면 Layer에 처리할 정보를 무엇으로 할 것인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풀어낼 수도 있다.. 처리되는 정보는 위치정보에 기반한 기존 LBS에서 확장된 개념이 될 수도 있고 위치 정보가 아닌 전혀 다른 차원의 정보(예를 들어 시간 같은..)가 결합되면서 또 다른 가능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 물론 정보의 제공 형태에 따라 관련한 UI 역시 고민이 되어야 할 것이다..
10 types society
my notes
2009/09/09 13:16
There are only 10 types of people in the world:
Those who understand binary and those who don't.
Those who understand binary and those who don't.
geek 들 사이에 회자되는 오래된 농담.. binary가 뜻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10 types의 '10'이 ten의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나름 재미있는 농담이긴 하지만 세상의 모든 사람들의 유형을 어떤 기준에 의해 단 두가지 타입으로 분류한다는 것은 한편으론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이 사회의 단면과 유사하다는 점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사회의 잠재적인 인식 가운데 숨어 있는 흑백논리를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
tag { 다양성 }